유기 양이온의 특이성을 조합한 박막 제어…태양전지 내구성·효율 향상

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상용 실리콘 전지와 달리 얇고 가벼워 건물 외벽이나 차량 지붕처럼 곡면이 있는 곳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, 용액 공정으로 상온에 쉽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 비용도 낮다. 상용화를 위해서는 높은 효율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술 개발이 중요한데,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기술을 개발했다.

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석상일 특훈교수는 김종범·박재왕 연구원과 함께,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박막 표면에 양이온의 특이성을 이용한 중간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고효율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.

연관 뉴스